수도권 도시에 다가온 인구감소의 유령: 안산의 인구감소


인구감소는 지방 도시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 feat. 안산시와 화성시 총인구 비교

2017년부터 경기도 안산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안산의 인구, 산업, 도시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를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2년간 안산을 살펴보면서

가장 우려스러운 부분은

안산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1986년 시로 승격한 안산시는

국가산업단지 '반월공단'의 성장과 신도시 개발에 따른 인구유입으로

급격한 인구성장을 이어왔습니다.

그러나, 안산의 인구는 2011년 최고점

총인구 759,902, 외국인 등록인구 44,316

내국인 총인구 715,586 명을 기록한 뒤,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2019년 8월 현재 인구는

총인구 712,410

외국인 등록인구 56,521를 제외한

내국인 총인구는 655,898 입니다.

2011년 최고점을 기록한 시점을 기준으로

총인구는 -47,492명

등록외국인은 +12,205명

내국인 총인구는 -59688 명으로서

내국인 인구는 약 6만명 감소했습니다.



<2011년-2018년 안산시 연령대별 인구변화>


안산의 인구는 5세단위 연령대별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그 심각성이 여실히 드러납니다.

2011년 부터 2018년 까지의 안산의 인구변화를

5세단위 연령대별로 그래프를 만들어서 확인해보면,

가장 왕성한 경제활동을 하면서 도시의 경제를 주도하는

30-50대 인구가 조사기간 동안

급격히 인구가 유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자녀세대인 0-20대 인구도

30-50대 인구감소 비율과 유사한 비율로 인구가 유출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65세이상 노령인구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구감소와 인구고령화가 동시에 작동하고 있는 안산입니다.




<2013년-2018년 안산시 동별 인구변화>


공간적으로도 인구감소가 안산시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3년과 2018년의 동별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호수동 등 4개 동을 제외하고 모든 동에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법정동 개편으로 법정동 이름과 경계가 달라진 지역은

이전 법정동 영역과 가장 유사한 지역의 인구를 비교했습니다.)


안산의 인구감소가 예사롭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무렵인

2017년 말 부터, 인구감소에 대한 관심과 대응을

직간접적으로 안산시에 요구했습니다.

시 관계자분들과 지역 사회단체 분들은

안산의 인구감소는 아파트 재건축 지역의 발생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써

재건축 아파트 지역의 입주가 시작되면

인구가 다시 증가할 것이니까 크게 걱정할 부분이 아니라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위의 지역별 인구변화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안산의 인구는 2013-2018년 사이에 아파트 재건축이 발생했던

중앙동, 선부동 등에서만 빠져나가지 않고

재건축과 전혀 무관한 본오동, 와동 지역에서도 감소했습니다.

안산시도 최근에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2018년 부터 인구 TF 를 구성해서 인구감소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합니다.



<2017년 12월 부터 2019년 5월 안산시와 화성시 인구변화 및 입주 아파트>


그 사이 안산의 바로 옆 도시, 화성의 인구는 눈부시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7년 12월 부터 2019년 5월까지의 두 도시의 인구변화를 주목하면

추락하는 안산의 인구와 솟아오르는 화성의 인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동탄과 다른 개발지역의 인구유입으로

경기도 남부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가 늘고 있는 화성의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재건축 아파트 단지들의 입주가 시작됐지만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 안산의 인구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년 6개월의 짧은 기간동안

화성의 인구는 9만명이 늘었고

안산의 인구는 2만명이 감소했습니다.




안산의 급격한 인구감소는

지방도시에 불어닥치고 있는 인구감소의 비극이

수도권 도시라고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안산의 인구감소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이고 세밀한 인구변화 및 경제 데이터의 분석이 필요할 것입니다.

다만, 추정컨데 안산의 인구감소의 성격은 지방도시와 다를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지방의 중소도시의 인구가 젊은 세대 중심으로, 대학교육, 일자리를 위해

지방 중심도시 (광역시)와 수도권으로 움직이고 있다면,

안산의 인구는 30-50대, 가족을 지니고 있는 중심경제층이

노후 공단의 구조고도화 실패에 따른 일자리 상실과 함께

더 나은 삶의 조건 (주택가격, 주거환경, 자녀의 교육환경)을 위해

수도권 내의 다른 도시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사회의 전체 인구가 하향세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에도

수도권으로 인구는 몰려들고 있지만

수도권 내의 새로운 주거지 개발도 함께 진행되고 있어서

경쟁력이 부족한 수도권 내의 도시들 혹은 지역들의

인구 빼먹기, 인구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다고 봅니다.


실제 안산 2017년 인구이동을 마이크로데이터로 확인해보면

가장 많은 인구가 빠져나간 도시는 시흥 (4907명), 화성 (2776명), 수원 (2347명) 등으로

상대적으로 주택가격이 낮았던 안산의 인근 도시이거나 (시흥, 화성)

생활환경이 나은 도시 (수원)입니다.

2018년과 2019년 데이터를 확인해 본다면

신축 대단지 아파트 입주가 본격화된 시흥과 화성으로

더 많은 안산 인구가 이동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그린빌 18단지 전용면적 49.86m2 아파트 가격변동 (네이버 부동산 정보)>


부동산 가격의 하락도 오래된 공동주택에서 이미 시작됐습니다.

(물론, 가격이 오르고 있는 안산시 내 아파트, 지역도 있습니다)

공단과 바로 붙어있어서 취약한 생활환경의

초지동 그린빌 18단지의 소형 평수 아파트는

지난 3년 동안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안산의 다른 지역에 위치한 20년 이상된 저층 공동주택들도

재건축을 통한 부동산 개발이익이 사라지고 있는 최근의 분위기에서는

떨어지는 부동산 가치를 바라볼 수 밖에 없습니다.


잘 나가던 안산은 왜 이렇게 무너지고 있을까요?

장기적인 도시계획과 실행력의 부재,

인구팽창을 기대한 무분별한 재건축 허가의 부메랑

노후 산업공단의 구조고도화 지연에 따른 경제동력 상실, 일자리 상실

새로운 산업육성의 실패 등

여러가지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했을 것으로 봅니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단순히 안산의 문제만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정해진 인구를 두고 펼쳐지고 있는

수도권 도시들의 경쟁에서 밀려나는 도시들이

모두 겪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닐까요?

'삶의 질', '일자리', '도시행정' 의 중요성이

앞으로 수도권 도시들에서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스마트시티 개념을 이용한 중소도시재생계획에 대한 연구





2015년 미국 교통부에서 주최한 Smart City Challenge 공모전의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정리한 논문이
대한건축학회 2019년 9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도와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논문은 이 링크를 통해서 다운가능합니다.

유승호, 김용승 & 김소연, ‘스마트시티 개념을 이용한 중소도시재생계획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Vol.35 No.09 (2019-09): 29~40





런던시 초저공해지역 정책 (Ultra Low Emission Zone, ULEZ) 시행




<2019년 4월 8일 초정공해지역 적용지역>


런던시는 대기오염, 특히 이산화질소( NO2)와 미세먼지 (PM)을 줄이기 위해서
런던시의 혼잡통행지역에서
환경기준에 미달하는 차량을 운행할 경우
세금을 부과하는 정책인, 초저공해지역 (London Ultra Low Emission Zone )을
2019년 4월 8일부터 시작했습니다.

이 제도는 하루 24시간, 주말이나 공휴일과 관계없이
연중 계속 운영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 런던 중심지역에서 차량통행을 제한하던 대표적 정책인
혼잡통행료 (Congestion Charge)를 지불하는 지역과
초저공해지역이 적용되는 지역은 같지만
차량운행 시 적용되는 시간은 차이가 있는 별도의 제도입니다.
혼잡통행지역은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만 운행되며,
주말, 공휴일, 크리스마스와 새해 연휴 기간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초저공해지역은 연중 무휴로 지속적으로 적용되는 제도입니다.

일반자동차, 오토바이, 3.5톤 미만의 트럭은 해당지역에 진입할 경우
12.5 파운드를 납부해야하고
3.5톤 이상의 트럭, 공사차량, 대형버스는 100 파운드를 납부해야합니다.

일반 자동차의 경우
휘발유 차량은 Euro4 의 기준보다 많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차량,
경유 차량은 Euro6의 기준보다 많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차량들이
과세차량에 해당이 됩니다.
차종과 엔진 등에 따라서 과세여부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휘발유 차량은 2005년 이전 제작된 차량,
경유 차량은 2015년 이전에 제작된 차량들이 과세차량에 포함됩니다.

런던시는 유럽에서 가장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그래도, 미세먼지 농도를 매일 확인해야 하는 서울보다는 훨씬 좋습니다)
이산화질소와 (NO2) 와 미세먼지 (PM)의 농도가 높아서
시민들의 폐질환과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런던시 내 360개 초등학교가 법적 기준을 초과하는
대기오염 지역에 위치해 있다고 합니다.


<2021년 10월 26일 초정공해지역 적용지역>


런던시는 초저공해지역 정책을 앞으로 더욱 강화해 갈 예정으로
현재의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런던 중심지역에서
2021년 10월 26일 부터는 런던의 지하철 3존 영역정도까지 포함시키는
훨씬 넓은 영역에 초저공해지역 정책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런던 교통국은 하루에 약 4만대의 차량이
이 정책에 영향을 받을 것이며,
11%의 교통량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013년 런던의 전임시장인 보리스 존슨이 계획한 이 정책은
강력한 친환경 정책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사딕 칸 (Sadiq Khan) 현재 시장에 의해서 예정보다 1년 앞서
도입되었습니다.
런던시는 초저공해지역 정책과 같은 친환경 정책을 통해
대기오염 수준을 2025년까지 법적기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탄소 환경,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은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을 줄이면서
국민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런던 미래 경제발전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런던 교통국은 초저공해지역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민들이 정책 적용지역과 런던시 대기오염 측정장소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와함께, 기존에 운영되던 1층 전기버스와 함께
세계 최초로 2층 전기버스 20대를 도입해서
2019년 5월 10일 부터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유럽 내에서 최악의 대기오염 도시로 평가받고 있는
런던의 친환경 정책이 향후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낼지
기대를 가지게 합니다.

런던교통국의 초저공해지역 정책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https://tfl.gov.uk/modes/driving/ultra-low-emission-zone

런던시 초정공해지역과 대기오염 측정장소 지도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 수 있습니다.
https://maps.london.gov.uk/air-quality/


2층 전기버스 도입과 관련된 내용은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theguardian.com/uk-news/2019/may/10/london-to-have-world-first-hydrogen-powered-doubledecker-buses



Room_룸 issue03. 도시의 풍경과 사람들의 행위, 그리고 ‘장면’_김종연




건축 도시 블로그&매거진 Room 의 세번째 호에서는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학석사통합과정 김종연 학생의
‘도시를 이해하는 100가지 코드’
(원제: Urban Code: 100 Lessons for Understanding the City’) 의 서평이 실렸습니다.

아랭 링크를 통해서 Room_룸의 홈페이지로 이동하실 수 있고
PDF 로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Issue3: 도시의 풍경과 사람들의 행위, 그리고 ‘장면’



1 2 3 4 5 6 7 8 9 10 다음